Nursing :

임상 간호: 전문 지식 제대로 검색 및 활용 하는 법

비행단 2023. 1. 24. 00:00
728x90
반응형

간호사가 되어 병원에 입사하게 되면 학교에 다닐 때 배웠던 것 보다는 더 디테일한 것들을 많이 보게 됩니다.

 

저는 호기심이 많아서 궁금한 것도 굉장히 많았는데요, 경력단절이 10년 정도 있던 상태에서 엔클렉스를 패스하고 다시 임상으로 돌아가니 "이 병원에서 원래 하던대로 하세요"라는 말이 가장 듣기 싫었었어요.

 

도대체 그 근거는 뭔지, 혹은 그렇게 진행되는 이유는 뭔지 알고싶은 마음이 마음 속을 비집고 올라왔었습니다. (참고로 10년만에 돌아간 임상이지만 그다지 바뀌지 않은 환경에 통탄을 하기도 했습니다. 😭)

 

일반적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것 이외에도 임상에는 다양한 상황들이 존재해요. 각종 논문 및 교과서 텍스트 등도 굉장히 도움이 되었지만, 실시간으로 치료 및 간호의 트렌드를 확인하기는 구글에서 영문으로 해당 질환을 검색하는 것 만큼 도움이 되는 것이 없었습니다. 물론 '구글링'을 맹신 하라는 말씀은 아니지만, 적어도 '네이버'에서 국문으로 검색해 보는 것 보다는 훨씬 양질의 자료를 구할 수 있음을 알려 드릴 수 있습니다.

 

아래는 근무 하면서 전/후로 공부했던 자료들을 어떻게 찾고, 검색하고, 활용했는지에 대해 기술하고자 합니다.

 


1. 구글 영어 검색 적극 활용

궁금한 질환이나 치료 방법이 있다면, 네이버 검색 보다는 구글에 해당 질환이나 치료 방법 혹은 간호 술기에 대해 영문으로 쳐보면 훨씬 양질의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요. 예시로 삼각근 근주 방법에 대해서 쳐보았어요.

 

 

그럼 이렇게 친절하게 IM을 놓는 위치와 놓는 방법 등에 대해 영상까지 나오지요. 좋아요 이정도까지는 네이버에서도 해결을 해 주겠지만, 우리는 그 이상을 알 수 있어요. 둔부에 주사하는 것과는 다르게 백신 등을 삼각근에 주사할 때는 syringe를 regurge하지 말라고 그러죠. 왜 그럴까요?

 

https://youtu.be/DBHnd3N-5Ns

. If the subcutaneous and muscle tissue are bunched to minimize the chance of striking bone (19), a 1-inch needle or larger is required to ensure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Aspiration before injection of vaccines or toxoids (i.e., pulling back on the syringe plunger after needle insertion but before injection) is not necessary because no large blood vessels are present at the recommended injection sites, and a process that includes aspiration might be more painful for infants (22).

 

ACIP Vaccine Administration Guidelines for Immunization | CDC

Persons administering vaccinations should follow appropriate precautions to minimize risk for disease exposure and spread. Hands should be cleansed with an alcohol-based waterless antiseptic hand rub or washed with soap and water before preparing vaccines

www.cdc.gov

제가 좋아하는 Registeredn RN 선생님께서 올려놓은 술기가 있네요. 여기에 첨부된 CDC가이드라인에 나온 IM 방법입니다. 백신이나 toxoids를 삼각근주하고 시린지를 뒤로 빼는 것은 불필요하다고 기술되어 있습니다. 이유는 추천한 IM site에는 큰 혈관이 없기 때문이죠. 그리고 영아에게는 이게 오히려 더 고통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고로, 정확한 부위에 근주를 한다면 regurge를 할 필요가 없다는 의미입니다. 

찾은 김에 하나 더 찾아봤어요. 저는 프리필드 시린지를 쓸 때 공기를 꼭 빼야 하는지 안빼야 하는지 너무너무 궁금했는데요. 왜냐하면 공기를 빼다가 시린지가 너무 뻑뻑해서 약제의 일부도 같이 나가는 경우도 있었거든요😭 

영문으로 검색 했더니 prefilled syringe는 manufactured syringe라고도 불리더라고요
나중에 미국에 가실 분들에겐 또 도움이 되는 용어겠어요!

출처 : https://aohp.org/aohp/blog/?p=297

여기서 기술하기로는 프리필드 시린지의 경우에는 공기를 제거해도 되고 안해도 된다라고 기술을 했습니다. 왜냐하면 0.2-0.3cc의 공기는 사실상 큰 문제가 되지 않으며, 약제 주입 후 needle에 걸쳐있는 약물을 밀어 넣어주는 역할을 한다고요. 하지만! 바이알에서 재거나, 앰플에서 잰 약물을 주사할 때는 반드시! 공기 제거를 해야 한다고도요. 


이런 양질의 자료 저는 몰랐잖아요..구글 검색 만만쉐이..😍
참고로, 검색 자료 활용은 적어도 논문, CDC 이상의 자료를 double check해서 참고하는게 좋아요!
혹시 이미 알고 계셨던 선생님들 계신다면 저의 무지함을 매우 쳐...주세여

 


2. UpToDate https://www.uptodate.com/contents/search

 

Search - UpToDate

This site uses cookies. By continuing to browse this site you are agreeing to our use of cookies.

www.uptodate.com

병동 신규 시절 전공의 선생님들이 늘상 들락거리던 웹사이트 였어요. 각종 질환에 대한 치료 방법 및 알맞은 약제 사용 기간 등을 확인하는 것을 눈여겨 보고 궁금한게 있음 들어가서 검색해 보곤 했어요. 지금은 유료서비스로 전환이 되어 구독을 해야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구글링 검색을 통하다 보면 UpToDate에 기술된 내용들이 검색어에 걸려 나오기도 합니다. 이를 통해 적합한 약제 선정, 약제의 tapering용량 정도 및 시기 까지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구글 검색을 통해 각종 논문, CT 및 MRI의 영상 자료까지도 대강은 훑어 볼 수 있었어요. 더이상 네이버 검색은 그만! 구글 영문 검색으로 더 똑똑해지는 선생님들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요즘에는 영문 페이지 국문 번역도 가능하니까 적극 활용하시거나, 혹은 미국에 뜻이 있는 분들은 영어공부 한다 셈 치고 오다가다 찾아보시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오늘도 임상에서 열심히 근무하시는 선생님들 고생 많으셨어요! 🥰

728x90
반응형